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의 첫 관문은 언제나 “Hello, World!”를 화면에 출력해보는 것입니다. 이 간단한 과정은 코드를 작성하고, 파일로 저장하며, 이를 실행하는 전체 흐름을 익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이 글에서는 Lua 개발 환경이 준비되었다는 가정하에, 여러분의 첫 번째 Lua 프로그램을 직접 만들고 실행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Lua 코드의 기본 구조를 이해하고,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는 주석 사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Lua 프로그램: Hello, World!
먼저 텍스트 편집기를 열고 다음 한 줄의 코드를 작성합니다.
print("Hello, World!")
이 코드는 매우 직관적입니다.
print
: Lua에 기본적으로 내장된 함수(function)입니다.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약속된 명령어이며,print
함수는 괄호 안에 전달된 값을 화면(터미널)에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Hello, World!"
: 문자열(string) 데이터입니다. 문자열은 텍스트를 의미하며, Lua에서는 큰따옴표("
)나 작은따옴표('
)로 감싸서 표현합니다. 위 코드는print
함수에 “Hello, World!”라는 텍스트를 전달하여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것입니다.
프로그램 저장 및 실행하기
작성한 코드는 이제 파일로 저장하고 직접 실행해 볼 차례입니다.
1. 코드 파일로 저장하기
사용하는 텍스트 편집기(VS Code, 메모장 등)에서 파일을 저장합니다. 이때 파일 이름은 hello.lua
로 지정합니다. Lua 스크립트 파일은 이처럼 일반적으로 .lua
확장자를 사용합니다. 파일을 찾기 쉬운 위치(예: 바탕화면)에 저장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2. 터미널에서 실행하기
운영체제에 맞는 터미널 프로그램을 엽니다. (Windows는 명령 프롬프트 또는 PowerShell, macOS/Linux는 터미널)
먼저 cd
명령어를 사용하여 hello.lua
파일을 저장한 위치로 이동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바탕화면에 저장했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cd C:\Users\YourUsername\Desktop
- macOS:
cd /Users/yourusername/Desktop
- Linux:
cd /home/yourusername/Desktop
이동이 완료되면, lua
명령어 뒤에 파일 이름을 입력하여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lua hello.lua
Enter 키를 누르면, 터미널 화면에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납니다.
Hello, World!
이것으로 여러분은 첫 번째 Lua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작성하고 실행했습니다.
코드 가독성을 위한 주석(Comments)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를 위한 명령인 동시에, 사람을 위한 기록이기도 합니다. 코드가 복잡해질수록 특정 부분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을 남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주석(comment)을 사용하며, 주석 처리된 부분은 Lua 인터프리터가 실행하지 않고 건너뜁니다.
Lua는 두 가지 형태의 주석을 지원합니다.
- 한 줄 주석: 두 개의 하이픈(
--
)으로 시작하며, 그 뒤부터 해당 줄의 끝까지 주석으로 처리됩니다.
-- 이것은 한 줄 주석입니다. 이 줄은 실행되지 않습니다.
print("Hello, World!") -- print 함수를 호출하여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 여러 줄 주석:
--[[
로 시작하여]]
로 끝납니다. 이 블록 안에 있는 모든 내용은 여러 줄에 걸쳐 주석이 됩니다. 긴 설명을 작성하거나 코드 일부를 잠시 비활성화할 때 유용합니다.
--[[
이것은 여러 줄 주석의 예시입니다.
이 블록 안에 있는 모든 내용은
Lua 인터프리터가 무시합니다.
]]
print("이 코드는 실행됩니다.")
주석은 코드의 의도를 명확히 하고, 미래의 자신이나 동료 개발자와의 소통을 돕는 중요한 도구이므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한 걸음 더: 변수와 연산 맛보기
이제 간단한 변수 사용과 문자열 연결을 통해 조금 더 동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greeting.lua
라는 이름으로 새 파일을 만들고 다음 코드를 작성해 보세요.
-- 변수를 사용하여 인사 메시지를 만듭니다.
-- 'name'이라는 변수에 문자열을 저장합니다.
local name = "Lua 학습자"
-- '..' 연산자로 문자열들을 연결하여 새로운 메시지를 만듭니다.
local message = "안녕하세요, " .. name .. "님! Lua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완성된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print(message)
-- 간단한 숫자 계산도 해봅시다.
local year = 2024
local age = 30 -- 예시 나이
print(name .. "님은 " .. year .. "년에 " .. age .. "살이 됩니다.")
local name = "Lua 학습자"
:local
키워드는 지역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합니다.name
이라는 이름의 변수(데이터를 담는 공간)를 만들고 그 안에 “Lua 학습자”라는 문자열 값을 저장합니다...
: Lua에서 문자열을 서로 이어 붙이는 연결(concatenation) 연산자입니다.- 숫자 데이터 역시 변수에 저장할 수 있으며, 문자열과 연결할 때 Lua가 자동으로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처리해 줍니다.
터미널에서 lua greeting.lua
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출력됩니다.
안녕하세요, Lua 학습자님! Lua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Lua 학습자님은 2024년에 30살이 됩니다.
마무리하며
이번 글을 통해 여러분은 Lua 프로그래밍의 가장 기초적인 과정을 모두 경험했습니다. print()
함수로 화면에 값을 출력하고, .lua
파일로 코드를 저장하며, 터미널에서 이를 실행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또한, 코드에 설명을 추가하는 주석의 중요성과 간단한 변수 및 연산자 사용법도 확인했습니다.